허브, 국토지리정보원을 다녀와서 대한민국 공간정보의
국토지리정보원 및 지도박물관 정문
방문취재에 앞서 국토지리정보원에 계신 김 담당관과 취재계획을 듣고 협조를 요청하여, 마침내 2019년 12월 20일 국토지리정보원을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먼저 운용지원을 담당하는 사무소에서 국토지리정보원에 대한 안내도 간단히 받고 수치지형도를 만드는 사무실로 이동해서 지도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받았습니다. 그동안 우리가 쉽게 살펴본 지도가 이러한 복잡한 과정과 많은 분들의 노력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게 되고 지도의 소중함을 다시 생각하게 된 시간이었습니다.
국토지리정보원 소개와 수치지형 작성과정 설명국토지리정보원은 종이지도 같은 2차원 지도부터 입체적인 3차원 공간정보 등 정보와의 융복합이 가능한 다양한 지도를 제작하였습니다.
국토지원정보원이 만드는 다양한 지도 (출처 : 국토지리정보원 제공)그 중에서 2차원 지도인 수치지형도 및 3차원 공간영상정보의 제작과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지도 제작 과정 취재2 차원 수치지형도는 어떻게 제작할까.
1. 항공사진촬영 : 항공사진카메라를 장착한 항공기를 이용하여 공중에서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정보 취득 2. 지상기준점 측량 : 항공삼각측량 및 수치도획에 필요한 기준점 성과(X, Y, Z)를 얻기 위하여 현지에서 실시측량 3. 항공삼각도 입력지형 수치 : 사진좌표 지상기준점 측량 성과(X, Y, Z)를 얻기 위하여 현지에서 실시측량 3·지형 그림 입력 3·3. 그림 입력지형 그림의 완성도 : 사진좌표 작업3. 그림 입력 : 사진좌표 결과물 입력 : 사진좌표 결과물 전환
수치지형도 제작과정 (출처 : 국가 토지리정보원 제공)
3차원 공간영상 정보의 제작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이처럼 국토지리정보원은 다양한 지도 및 다양한 국토공간 영상정보시스템을 통해 수집, 활용에서 관리까지 지도의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또한 지도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위도와 경도, 해발, 수준의 원점, 측량 역사 등 지도 제작에 필요한 사항들을 살펴봅니다.
국토 지리 정보원의 취재를 마치고 뒤편에 있는 지도 박물관에 갔습니다. 정문을 들어서니 대동여지도가 반겨주더군요. 대동여지도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 김정호 선생이 제작한 과학적인 지도입니다 옛날에는 어째서 저렇게 정교한 지도를 제작했을까요? 우리 선조들의 위대함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대동여지도와 독도
다양한 지도의 모습지도 박물관 견학을 마치고 나왔더니 국토 위성 센터라는 처음 보는 건물이 있어서 찾아왔습니다. 이곳은 한반도는 물론 전 세계 국토의 위성영상을 촬영하고 수집하고 가공하여 위성정보를 스마트시티, 디지털 원의 기초자료인 3차원 공간정보 구축에 활용할 수 있는 국토관측전용 위성관리를 위한 곳입니다.
동센터는, 20년 전반기에 발사 예정의 차세대 중형 위성(국토 전용 관측 위성)을 유효 활용하기 위한 국토 위성 센터로서 11월 1일에 개소식을 가졌다고 합니다. 김정호 선생님이 직접 걸어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만들었는데 지금은 위성을 이용하는 시대가 되었다고 생각하니 기분이 좋았습니다국토 위성 센터
"국토지리정보원, 지도박물관, 국토위성센터 등을 둘러보고 야외에 나가면 김정호 선생의 동상과 세계 위치 기준인 그리니치 천문대에서 한국의 위치 기준을 설치한 경위도 원점, 통합 기준점, 측지 초장기선 전파 간섭계 관측점, 수준 원점, 각종 측량 시설 모형 등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국토지리정보원 야외전시물